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60년 넘게 즐긴 테니스가 건강 비결"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흘린 땀방울에 시원한 바람이 스칠 때 희열을 느낀다.”   단순한 장수가 아니라 건강한 노년 생활이 화두가 된 시대, 만 77세에도 테니스 코트에서 달리고 점프하며 라켓을 휘두르는 한인 여성이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남가주의 대표적 은퇴자 거주 단지 라구나우즈 빌리지에 사는 박혜숙씨다.   박씨는 라구나우즈 빌리지의 테니스 동호인 사이에선 모르는 이가 없는 유명 인사다. 그는 지난해까지 12년 동안 라구나우즈 빌리지의 체육 대회인 ‘빌리지 게임’에서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등 출전하는 종목마다 우승 또는 준우승을 휩쓸었다.   올해 대회에서 컨디션이 좋지 않아 테니스 대신 패들(Padel)과 피클볼 종목에 출전한 박씨는 지난 15일 2개, 16일 1개의 우승 메달을 목에 걸었다. 패들은 테니스, 스쿼시, 라켓볼이 혼합된 스포츠다.   “60년 넘게 테니스를 즐긴 것이 건강의 비결”이라는 박씨는 무학여고 재학 시절 연식 정구, 테니스 선수로 활약했다. 단국대에 진학 후엔 상업은행 직원 겸 선수로 활동하고 유니버시아드 대회에도 출전했다.   1973년 인디애나 대학교로 유학 온 박씨는 부산 전국체전에 재미동포팀 선수로 출전한 것을 계기로 당시 네브래스카주에서 유도 선수로 팀에 합류한 박용진씨를 만났고, 이후 결혼에 골인했다.   결혼 후 아이오와주에서 살다가 은퇴, 남편과 함께 라구나우즈 빌리지에 온 박씨는 순식간에 테니스 코트의 여왕으로 등극했다. 남편 박용진(76)씨는 2020~2021년 라구나우즈 한인회장을 지냈다.   박씨는 지난해 수퍼 시니어 토너먼트에 출전하기 위해 미 테니스협회 회원으로 등록했지만, 그 외에 76세 이상 참가자가 없어 출전을 포기해야 했다.   박씨는 “65세가 넘으면 운동을 포기하는 이가 많아 안타깝다. 그런 분들에게 자신의 몸 상태와 능력에 맞춰 어떤 운동이든 꾸준히 즐길 것을 권유하고 싶다. 해보면 노년 인생이 달라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박씨는 지금도 매주 3회, 3시간씩 테니스와 피클볼, 패들을 즐긴다. 골프도 친다. 박씨는 “운동을 안 하던 고령자에겐 테니스가 무리일 것이다. 같이 테니스를 치던 이들 중 관절에 문제가 생긴 이후 그만둔 이도 많다. 가볍게 운동하길 원하는 이에겐 피클볼이나 패들을 권한다”고 말했다.   박씨 부부는 라구나우즈 연합감리교회에서 장로를 맡고 있다. 임상환 기자테니스 건강 테니스협회 회원 테니스 코트 테니스 스쿼시

2025-04-24

[J네트워크] 스포츠계의 중국 리스크

 미국에서도 중국인의 테니스 사랑은 유별나다. 워싱턴 인근 주택가의 테니스 코트를 가보면 셋 중 두 팀은 항상 중국인일 정도다. 남녀노소 할 것 없고, 자녀들에 대한 조기 교육에도 열심이다.   중국이 테니스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정식 정목으로 채택되면서부터라고 한다. 그러다 2011년 우한 출신의 리나가 그랜드슬램 중 하나인 프랑스오픈에서 우승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후 국가적 지원을 받으며 100위권 내에 진입하는 여성 선수가 속속 등장했다. 1998년 박세리의 LPGA 우승 이후 수많은 ‘박세리 키즈’가 나온 것과 비슷했다.   그러자 세계여자테니스협회(WTA)는 중국 시장을 주목했다. 2019년부터 10년간 WTA 투어 파이널을 선전에 새로 지은 경기장에서 열기로 계약을 맺었다. 중국은 연간 1400만 달러의 상금도 내걸었다.   그러나 지난 2일 테니스 스타 펑솨이가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글을 올리면서 모든 상황이 뒤집어졌다. 장가오리 전 부총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는 폭로 뒤 행방이 묘연해지자, 스티브 사이먼 WTA 회장이 전면에 나섰다.     사건에 대해 독립적인 조사가 없다면 중국에서 아예 투어 운영을 중단할 수 있다며 초강수를 뒀다. 어차피 코로나19 때문에 중국과 계약 이행이 힘들어진 상황이기도 했지만 스포츠 정신, 여성 권리를 최우선으로 했던 WTA 입장에서 이 사건을 어물쩍 넘어갈 순 없었다.   미국 프로농구(NBA)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2004년 중국 농구 스타 야오밍이 속한 휴스턴 로키츠가 시범경기를 중국에서 치르면서 중국 내 NBA의 인기가 치솟았다.     거액의 중계권도 팔았지만, 2년 전 로키츠 총감독이던 대릴 모레이가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트윗을 날리면서 모든 관계가 틀어졌다. 중국 TV에서 로키츠 경기는 사라졌고, 중국 기업의 후원도 끊겼다. 결국 NBA가 사과 성명을 내자 이번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중국에 굴복했다”며 미국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졌다.   지난주 뉴욕타임스(NYT)는 “과연 스포츠계는 여전히 중국이 필요한가”라는 칼럼을 실었다. 한때 엘도라도 같았지만 전체주의적 위협이 커지는 중국에서 글로벌 스포츠계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는 것이다. 중국 인권 문제를 놓고 아슬아슬한 대처를 이어가는 국제올림픽연맹(IOC)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NYT는 “중국이 큰 시장이지만 나머지 세계도 못지않다. 자칫 이 시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제 스포츠계는 중국에 어떤 대응을 하는 게 정답일까. 여자 테니스계가 내린 선택의 결과에 더 주목하게 됐다. 김필규 / 워싱턴특파원J네트워크 중국 스포츠계 글로벌 스포츠계 테니스 스타 테니스 코트

2021-11-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